Yunghsu Hsu_2020-31_Stoneware_38x35x68.5cm_2020

Huihsuan Hsu_Water Slide of the South_Oil on Linen_60.5x45cm_2025

Jenkun Yeh_Back-and-Forth-X_Eastern-gouache, silver foil, canvas, silk fabric_91×64cm_2024

Back and Forth:Kiaf Seoul 2025

Heya Huang

San Gallery participated in Art Fair Fukuoka 2024, where we had the pleasure of meeting many new friends and were truly delighted to take part in such a wonderful celebration of art. This coming September, we are honored to arrive at our next destination: Kiaf Seoul 2025.

We would like to extend our sincere gratitude to the Black Tide Project by the Ministry of Culture, whose support has offered wind in times of rising tides, and treasures in times of ebb.
San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 midsummer journey of “Recurrence” in Seoul, joined by three artists: Yunghsu Hsu, Huihsuan Hsu,and Jenkun Yeh. We cordially invite you to visit and experience the tides as seen through the eyes of these three artists.

The tide comes, the tide goes — this is recurrence. Time recurs, life recurs, and so does art. If each person may be likened to a spiritual shore, then the rising tide stirs with vigor, and the receding tide retreats with introspection. When the tide comes, it may be vast and surging; when it goes, it may leave behind a parched stillness. This is the gift of time, the echo of life — and the very reason art flows in endless recurrence.

Yunghsu Hsu uses the body as his sole medium of creation, employing extensive hand-twisting, hand-pressing, and hand-shaping techniques to complete his works. By breaking the conventional delicacy and small scale typical of ceramic art, he continuously experiments with various variables to achieve the ideal conditions of the material, challenging the ceramic craft’s limitations in achieving both lightness and monumentality.

Beyond these external challenges, he relentlessly pursues self-transcendence. Observing his recent creative trajectory reveals a consistent “change” within constancy. At Art Fair Fukuoka, the author first noticed the “porosity” within his works. However, in his recent piece, 2025-16, there emerges a formal variation within the essence’s constancy. Wave-like ripples surround a coral-like form, as if time is hidden within its folds, and as if Yunghsu Hsu is quietly singing the cyclical nature of life within.

Huihsuan Hsu is skilled at opening the drawer of memories, extracting colors that flow freely across the canvas, with brushstrokes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work Pursuing the Lush Cave, broad swaths of color shift dynamically alongside delicate blending from finer brushes. Colors interact and illuminate each other, creating a memory box that even color theory finds difficult to analyze, allowing viewers to imagine cloud-like bubbles of recollection within the recurrence.

Huihsuan Hsu often describes her creative process as a form of “coding,” and the titles of her works frequently serve as “entries,” offering viewers a path to “decode” the piece. For example, Pursuing the Lush Cave’s title, “Lush Cave,” originates from the virtual ecological biome found in the game Minecraft. This biome is characterized by gentle light and abundant life-giving vitality. Through Hsu Hui-Hsuan’s recurring flow of colors, time merges into vegetation, flourishing into the very form of life.

Jenkun Yeh’s works often feature peacock blue as the background, applying fifteen layers of goache in a recurring thin wash technique—sometimes nearly fifty layers—to depict the moments of day and night transitioning. The deeper areas appear magical, while the lighter areas are intoxicating. This is the result of his observation of the cyclical shifting of the sky, rendering each piece’s background as a fleeting, ever-changing moment—an instant that is, in itself, eternal.

Jenkun Yeh focuses his gaze on every blade of grass and leaf in nature. In his “Recurrence” series, he employs perspectives from above and at eye level, then applies silver leaf. Using the technique of fire gilding, he lets flowing light settle upon the branches. His final touch is the sprinkling of leaf, which breathes a gentle breeze into the work. Taken as a whole, beneath the eternal sky, life itself radiates with its own brilliance.

The tide comes, the tide goes — this is recurrence.
Time recurs, life recurs, and so does art.

We cordially invite esteemed guests from all walks of life to dock at Kiaf Seoul 2025, and join San Gallery amid the tides to witness the coming and going of the three artists’ waves, feeling the recurrence of time and life. Amid this midsummer swell, we look forward to meeting you on the shore at Booth B47!

왕복:Kiaf Seoul 2025

황 허야

弎화랑은 2024년에 「후쿠오카 아트 페어 (Art Fair Fukuoka 2024)」에 참여하여 많은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고, 이처럼 아름다운 예술 축제에 함께할 수 있어 매우 기뻤습니다. 그리고 올해 9월, 저희는 다음 목적지인 「Kiaf Seoul 2025」에 도착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 자리를 빌려 문화부 흑조(黑潮) 프로젝트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흑조 프로젝트 덕분에弎화랑은 조수가 밀려올 때에는 바람의 도움을 받고, 조수가 빠질 때에는 귀한 보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弎화랑은 이번에 세 명의 쉬용쉬, 쉬후이쉬안, 예런쿤, 그리고 엽인곤과 함께 서울의 한여름 「往復」 여정에 참여합니다. 귀빈 여러분을 정중히 초대하여 세 예술가가 바라보는 파도의 흐름을 함께 감상하고자 합니다.
조수가 밀려오고 빠져나가는 것, 이것이 바로 往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은 往復하고, 생명도 往復하며, 예술 또한 往復합니다. 만약 각자가 모두 영혼의 해안이라 한다면, 조수가 밀려올 때는 거세게 일고, 빠져나갈 때는 내면으로 움츠러듭니다. 조수가 밀려올 때는 풍부할지라도, 빠져나갈 때는 메마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시간의 선물이며, 생명의 울림이자, 예술이 끊임없이 往復하는 이유입니다.

쉬용쉬은 「신체」를 유일한 창작 매체로 삼아, 다량의 손으로 꼬고, 누르고, 빚는 과정을 통해 작품을 완성합니다. 이는 도예 작품이 일반적으로 지니는 정교하고 작고 섬세한 형태를 깨뜨리며, 다양한 변수를 지속적으로 실험하여 매체와 최고의 조건을 맞추고, 도예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가벼움」과 「거대함」에 도전합니다.
외부적 도전을 넘어서 그는 끊임없이 자기 초월을 추구합니다. 그의 최근 창작 흐름을 살펴보면, 불변 속의 「변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후쿠오카 아트 페어에서 필자가 처음 주목한 것은 작품 속의 「공극」이었으나, 이번 작품 〈2025-16〉에서는 본질의 불변 속에서 형태의 변이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파도처럼 물결무늬가 산호 같은 형태를 감싸고 있는데, 이는 주름 속에 시간이 숨겨져 있는 듯하며, 서영욱이 그 안에서 생명의 순환을 조용히 읊조리는 것과도 같습니다.

쉬후이쉬안은 기억의 서랍을 열어 그 안에서 색채를 응축시켜 캔버스 위에 자유롭게 흐르게 하며, 붓질을 반복하여 유려하게 이어갑니다. 작품 〈추적하는 번무동굴〉에서는 큰 붓으로 색면이 움직이는 동시에 작은 붓으로 섬세하게 번지는 채색이 드러나며, 색과 색이 서로 빛을 발해 색채학조차 쉽게 분석하기 어려운 기억의 상자를 완성합니다. 이로 인해 관람자는往復(왕복, 반복) 속에서 기억의 구름 같은 거품을 연상할 수 있습니다.
쉬후이쉬안은 자신의 창작 과정을 흔히 「암호화(coding)」라고 표현하며, 작품의 「제목」은 종종 「입구」의 역할을 하여 관객에게 「해독」의 경로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추적하는 번무동굴〉의 “Lush Cave”는 게임 《Minecraft》 내 가상 생태계 생물 군락에서 착안한 것으로, 이 생물 군락은 은은한 빛과 생명을 품은 생육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쉬후이쉬안의往復하는 색채 흐름 속에서 시간은 식생으로 녹아들어 생명의 모습을 풍성하게 합니다.

예런쿤의 작품은 주로 피코크 블루(孔雀藍)을 배경으로 하여, 15종의 콜라주 기법으로 거의 50겹에 이르는 반복적인 얇은 채색을 통해 주야 교차의 순간을 묘사합니다. 깊은 부분은 마법적이며, 얕은 부분은 황홀감을 자아냅니다. 이는 그가 관찰한 하늘의 반복 교체 현상의 결과로, 각 작품의 배경은 순간순간 변모하는 장면을 담아내며, 그 찰나가 바로 영원입니다.
예런쿤은 자연계의 한 포기 풀과 잎사귀 하나하나에 시선을 집중합니다. 「往復」 시리즈에서 그는 고개를 숙여 내려다보고, 평시선에서 바라본 뒤, 은박을 붙이고, 소각 기법을 활용해 빛이 가지 위에 흐르도록 표현합니다. 마지막 한 획으로 뿌리기 기법을 사용하여 작품에 바람 한 줄기를 불어넣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영원의 하늘 아래, 생명은 스스로 빛을 발합니다.

조수가 밀려오고 빠져나가는 것, 이것이 바로 往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은 往復하고, 생명도 往復하며, 예술 또한 往復합니다. 각계 귀빈 여러분을 「Kiaf Seoul 2025」에 정박하시어 弎화랑과 함께 파도 사이에서 세 예술가의 조수의 오고 감을 관람하며 시간과 생명의 往復을 느끼시길 정중히 초대합니다. 이 한여름의 파도 속에서 저희는 B47 부두에서 뵙겠습니다!

Exhibition Title2025 𝐊𝐈𝐀𝐅 SEOUL
Award-Winning ArtistYunghsu Hsu, Huihsuan Hsu, Jenkun Yeh
Art Fair Dates & Hours​

➤September 3 (Wed) 11:00–20:00
Kiaf SEOUL VIP: 11:00–15:00
Kiaf SEOUL & Frieze VIP: 15:00–19:00
Kiaf-only admission: 19:00–20:00

➤September 4 (Thu) 11:00–19:00
VIP Preview: 11:00–15:00
General Admission: 15:00–19:00

➤September 5 (Fri) – September 6 (Sat) 11:00–19:00

➤September 7 (Sun)11:00–18:00 (Kiaf SEOUL only)

Opening Reception & Artist Talk|March 22 (Sat), 2025, 1:00 PM
Exhibition VenueCOEX Hall A&B, Grand Ballroom(1F), The Platz(2F) 06164, 513, Yeongdong-daero,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Share This